기사 메일전송
경기도, 2016년 도세 세입목표 8조 3,186억 원 추계 - 2015년 추경 예산액 8조 8,577억 원 대비 5,391억 원 감소
  • 기사등록 2015-10-19 13:08:00
기사수정

 【경기인뉴스】경기도는 2016년 도세 세입목표를 8조 3,186억 원으로 추계했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가격증감율, 거래증감율, 세액증감율, 특수요인, 경제성장률 등을 감안해 2016년 세수추계안을 작성, 세수추계 자문회의를 거친 끝에 내년도 세수추계액으로 8조 3,186억 원을 확정했다.

 

  

이는 2015년 당초 예산액 7조 6,577억 원 보다는 6,609억 원(8.6%)이 늘어난 것이고, 추경 예산액 8조 8,577억 원 보다는 5,391억 원(6.1%)이 감소한 규모다.

  

세목별 추계치는 취득세가 4조 3,426억 원, 지방교육세가 1조 5,231억 원, 지방소비세가 1조 1,032억 원, 레저세가 5,119억 원, 등록면허세가 4,281억 원, 지역자원시설세가 3,949억 원, 지난년도 수입이 148억 원 등이다.

  

도는 부동산 거래감소로 인해 취득세가 추경예산액 5조 220억 원에서 4조 3,426억 원으로 6,794억 원 감소하고 레저세도 경마장 등 매출액 감소로 추경예산액 5,230억 원에서 111억 원이 감소한 5,119억 원이 걷힐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지역자원시설세는 2,941억 원에서 3,949억 원(1,008억), 지방소비세는 1조 634억 원에서 1조 1,032억 원(398억), 등록면허세는 4,247억 원에서 4,281억 원(34억)으로 지난해 추경예산 대비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했다.

  

박동균 경기도 세정과장은 “IMF가 내년도 우리 경제 성장률을 3.5%에서 3.2%로 하향 조정하는 등 국내외 연구기관의 경제전망이 밝지 않다.”면서 “여기에 도 세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취득세도 가계부채관리대책 시행 등 부동산 시장 둔화로 감소가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 재정운영을 위해 보수적 추계를 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도는 이같은 세입 추계액을 2016년도 예산편성을 위해 11월 경기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박 과장은 “추계액이 올해 보다 줄어든 규모지만 경기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목표액 달성을 위해 시・군 지도점검 및 취약분야 기획점검을 강화하고 숨은 세원을 발굴하는 등 세입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2.dadamedia.net/news/view.php?idx=7383
  • 기사등록 2015-10-19 13:08: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2025 을지연습" 오산시에 바란다 오늘부터 오산시는 나흘간의 일정으로 ‘2025 을지연습’을 실시한다. 국가적 차원의 비상 대비 훈련이지만, 그 의미와 효과는 결국 지역 현장에서의 실천 여부에 달려 있다. 이번 훈련은 단순히 중앙정부의 지침에 따라 움직이는 의례적 행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오산시가 이번 을지연습을 통해 진정으로 점검해야 할 것은 시민 안전...
  2. 김승원 의원, 용인-과천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예타 선정 환영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국회의원(수원갑, 경기도당 위원장)은 20일 용인~수원~과천 구간을 잇는 지하고속도로 사업인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열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
  3. 김동연도지사 “하남교산 신도시,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만들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하남 교산 신도시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이 되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김동연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 미래도시와 국가 AI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AI는 이제 단순한 산업 혁신 도구를 넘어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