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가 최근 내놓은 ‘2040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은 인구 50만, 예산 1조원 시대를 목표를 내세우며 홍보되고 있다. 교통·주거·복지·환경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54개 사업이 담겨 있다. 그러나 시민들이 이를 곧이곧대로 신뢰할 수 있을까. 화려한 계획은 많았지만, 실행으로 이어진 사례는 드물었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경기인뉴스 홍충선 대표
오산의 현실은 멀리 있는 미래가 아니라 눈앞의 생활 현안에서 드러난다. 서부우회도로 개통 이후 이어진 교통 소음과 방음터널 지연, 여전히 위험한 횡단보도와 보행로, CCTV가 부족한 주택가 골목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세교지구 특성화 고교 유치라는 성과만 앞세울 뿐,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 지원이나 방과후 돌봄, 청소년 문화공간 확충은 뒷전이다.
환경 문제 또한 녹지 부족, 산업단지와 교통량 증가로 인한 대기질 악화, 생활 쓰레기 관리 미흡이 시급하다. 시민들이 체감하는 불편은 오늘의 집 앞 거리와 교실, 공기 속에서 비롯되는데, 장밋빛 미래 구호만 난무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더욱이 내년 지방선거라는 정치 일정은 이번 계획의 지속 가능성에 커다란 의문을 던진다. 시장이 교체된다면, 2040 계획이 고스란히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 선거 때마다 단절되는 정책의 연속성 부족은 지방자치의 고질적 병폐다. 시민들은 “임기용 이벤트”에 또다시 속아 넘어가고 싶지 않다.
도시는 주민의 삶을 바꾸는 작은 정책에서부터 신뢰를 얻는다. 실천 의지 없는 장밋빛 구호는 허상일 뿐이다.
오산시가 진정으로 미래를 준비하고자 한다면, 거창한 목표보다 교통 소음 차단, 보행 안전 확보, 학교와 돌봄 환경 개선, 녹지와 대기질 관리 같은 당장의 과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재원 확보와 정책 연속성에 대한 확실한 대책 없이는 이번 계획 역시 ‘말의 잔치’로 끝날 것이다.
계획은 정치인의 치적이 아니라 시민과 후대의 삶을 위한 약속이어야 한다. 오산시는 더 이상 공허한 청사진으로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 내년 선거라는 변수가 있더라도, 행정의 진정성과 실행력을 증명하지 않는 한 2040 계획은 시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이제는 구호가 아니라 성과로 답해야 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