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로봇다리 세진이의 꿈, 수원 청소년의 맘 울린다 - 광교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멘토특강
  • 기사등록 2014-05-08 09:50:00
기사수정

 【경기인뉴스】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김충영 이사장) 광교청소년수련관에서는 세상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생각들을 널리 알리기 위한 청소년 멘토특강의 첫 번째 강연자로 '로봇다리 세진이와 장한 어머니(양정숙씨)'를 초청하였다.

 

 

오는 12일 오후 2시부터 수원다산중학교에서 청소년 700명을 대상으로 열리는 청소년 멘토특강에는 '로봇다리 수영선수'로 알려진 김세진 군과 그의 어머니 양정숙 씨가 나와 이야기를 들려준다.
 
세진 군은 선천성무형성장애를 가지고 태어나 두 다리와 세 손가락이 없는 그는 고아였다. 생후 6개월 때 공개 입양을 통해 지금의 어머니(양정숙)를 만나게 됐다. 싱글맘인 어머니(양정숙)는 집을 팔아 세진 군에게 수술과 티타늄 의족을 해줬고 세진 군은 살과 뼈를 깎는 여섯 번의 수술을 이겨내며, 힘든 상황과 조건에도 장애인 국가대표 수영선수가 되었다.
 
세진이는 열두 살이었던 2009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장애인수영선수권대회(19세 미만)에서 50m 접영과 150m 자유형, 200m 혼영에서 3관왕을 차지하는 등 훌륭한 국가대표 수영선수가 되었다. 지난해에는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수시전형에 최연소로 입학, 첫 장애인 선수 입학 기록도 세웠다.
 
다섯 살 때 수영을 시작한 세진이는 대부분의 시간을 코치 없이 어머니 양정숙(45)씨와 둘이서 훈련하며, 수영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불편한 자신의 몸을 사랑하기 시작했다.
 
이날 특강에서는 세상의 모진 시선과 편견을 이겨낸 감동스토리의 주인공인 로봇다리 김세진 군과 어머니(양정숙)께서 직접 수원청소년들에게 희망 메시지를 들려준다.
 
한편 광교청소년수련관은 이번 김세진 선수의 희망스토리에 이어서 강연100C 박진영<막노동을 하며 의대 합격한 25세 청년>, 아티스트를 探하다<춤으로 말하는 엔터테인먼트 대표, 라퍼커션 아티스트, 마술사 투승호> 등 청소년들에게 희망과 감동을 줄 수 있는 강연 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2.dadamedia.net/news/view.php?idx=3522
  • 기사등록 2014-05-08 09:50: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승원 의원, 용인-과천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예타 선정 환영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국회의원(수원갑, 경기도당 위원장)은 20일 용인~수원~과천 구간을 잇는 지하고속도로 사업인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열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
  2. 김동연도지사 “하남교산 신도시,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만들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하남 교산 신도시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이 되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김동연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 미래도시와 국가 AI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AI는 이제 단순한 산업 혁신 도구를 넘어서...
  3.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반환공여구역 개발은 ‘희생에 대한 보상’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드는 ‘투자’”라며 총 3천억 원 규모의 개발기금 조성, 지방도 9개 노선 신설 등 교통인프라 개선, 선제적 규제 개선 등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대한 구체적 정책방향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25일 국회도서.
  4. 경기도, 세금탈루 회피 등 부동산 거래 거짓신고자 546명 적발 경기도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31개 시군의 부동산 거짓 신고 의심 사례 3,056건을 특별 조사한 결과, 납세 의무 회피 등의 목적으로 부동산 거래를 거짓 신고한 546명을 적발해 총 8억 8,93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26일 밝혔다.도는 업·다운 계약 신고, 계약일 거짓 신고, 특수 관계(친인척) 간 매매 신고, 거래 대금 확인 불가 등 거짓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