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교육부는 교육격차 해소방안의 후속조치로 일반고 재학생 중 희망하는 학생은 누구나 원하는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교육부 및 교육청에서는 2016년부터 조기에 진로를 결정한 학생이 양질의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대 연계 2학년 직업위탁교육 시범운영 등 일반고 직업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나, 여전히 재학 중에 직업교육을 받은 학생은 1만 3천여 명에 불과하여 일반고 졸업생 중 약 2만 3천명은 어떠한 진로도 결정하지 못한 채 사회에 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개인 맞춤형 직업 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예비 직업과정을 시범 운영하고, 위탁 직업과정을 확대 및 개편한다.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통해 발견한 소질·적성을 고교 1학년 단계에서 예비 직업과정에 참여하여 실제 자신에게 맞는 직업 과정을 찾고, 2학년 2학기부터 일반고 학생 누구나 본인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직업교육을 언제든지 받을 수 있도록 직업위탁교육을 대폭 확대하고 지원을 강화한다.
2017학년도 1학기부터 4개 시도에서 일반고 1, 2학년 2천여명을 대상으로 전문대 등과 연계하여 예비 직업과정을 시범 운영한다.
에너지 융합설비, 제과제빵, 바리스타 등 학생이 선호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방과후, 방학, 주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직업과정을 체험하고자 하는 학생은 누구나 참여하여 자신에게 맞는 직업 과정을 탐색하고 찾게 된다.
아울러, 2016년에 시범운영한 전문대 연계 2학년 위탁 직업과정도 2016년 11개 전문대학, 402명에서 2017년 36개 전문대학, 1,000여명으로 확대한다.
전문대 인프라를 활용하여 인성교육 및 학생 상담을 강화하고, 맞춤형 기초학력 향상 및 수업결손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2017년부터는 직업위탁 과정이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과정 운영을 위한 예산을 대폭 확대하며, 위탁 교육을 받는 학생에게는 1인당 월 20만원의 훈련비도 지원한다.
그 간 산업정보학교에서 직업위탁교육을 받고 싶어하는 학생은 6천여 명인데 반해 수용인원은 3천6백여 명에 불과 하는 등 위탁교육 기회가 부족하며,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이 낮고, 학교 명칭에 따른 사회적 편견, 졸업장 미발급 등으로 취업에서 불리한 점 등이 현장의 어려움으로 제기되었다.
교육부는 일반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위탁기관인 산업정보학교를 ‘미래 직업학교’ 형태로 개편하고 지원을 확대한다.
시·도교육청별로 폐교 부지 등을 활용하여 지역 산업과 연계한 특화된 과정을 개설·운영하는 미래형직업학교를 신설하고, 기숙사를 설치하여 타 지역의 희망 학생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학생에게는 1인당 월 20만원의 훈련비도 지원한다.
이러한 미래직업학교에는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하여 교육과정 및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대폭 강화한다.
희망하는 학교부터 학점제 도입 등 학사운영을 유연화하여 다양한 장·단기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 명칭도 자율화 한다.
또한, 현장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장기적으로 자격증 취득 등 특정 분야에 직업 능력을 갖춘 학생에 한하여 졸업장을 수여하는 책임형 미래직업학교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 누구나 언제든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양질의 직업위탁교육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하며,“직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이후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까지 연계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