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농촌진흥청은 지난달 22일부터 3월 10일까지 제주, 충남 등 전국 7지역을 찾아가 시설원예 스마트팜 실용기술 확대 보급을 위한 기술지원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7지역은 제주 서귀포(감귤), 충남 예산(토마토), 경북 칠곡(참외), 강원 영월(느타리버섯), 전북 완주(딸기), 경기 안성(포도), 경남 김해(국화)이다.
한국형 스마트팜은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닐하우스의 특성을 고려해 재배여건과 농가 규모에 맞춰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구축한 온실이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언제 어디서든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점검하며 유지·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농촌진흥청의 Top5 융복합 프로젝트로 선정돼 지난해부터 현장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스마트팜 시설원예 현장기술 지원단은 총 11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토마토·딸기 등 7작물 분야, 스마트팜 시스템 분야, 농업 빅데이터 분야, 병해충 및 토양 분야, 경영 분야이다.
이번 기술지원은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와 시범 농가를 찾아 스마트팜 도입을 위한 기술교육부터 시설구조 및 작물유형에 적합한 환경제어기술과 분야별 어려움을 지원했다.
기술지원 결과, 현장에서는 스마트팜 환경제어시스템을 설치한 뒤 농장의 재배여건에 맞게 보완해 활용하고 있었으며, 기본적으로 작물에 대한 관심과 재배기술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기술지원을 받은 농업인들은 “인력 부족으로 농장 각각의 개별 제어를 수동으로 하면서 감각에 의한 농사에 의존했지만, 앞으로는 환경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영농 의사 결정에 큰 기대감을 갖고 있다.”라며 스마트팜의 도입 목표를 밝혔다.
농촌진흥청 이명숙 기술지원과장은 “시설원예 스마트팜의 현장 확산을 위한 안정적인 환경제어시스템 구축으로 농업인들의 편의성 높이는 것을 넘어 농산물의 품질과 수량 증대를 위해 지속적인 현장지원을 이어가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