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경기도가 차세대 금융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농산물 인증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앞서 도는 주민제안 공모사업과 기부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의지를 밝힌 바 있어 도정 전반에 관련 기술 활용사례가 늘어날 전망이다.
도는 8일 이재율 경기도 행정1부지사 주재로 실국장 회의를 열고 G마크 인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특정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시켜 참가자 모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로 보안성과 투명성이 높다.
도는 시스템 도입으로 경기도지사 인증 농특산물인 G마크 인증과 관련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도입 시, 기존에 공개하던 인증정보 외에 농가현황, 소비자의견 등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고 QR코드로 출력해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추진된다.
특히 농가는 현장사진과 잔류농약, 중금속 검사 등에 대한 검사성적서를 게재하고 소비자는 방문결과와 구매후기 등을 반영하는 등 다방향 소통이 가능해진다.
경기도 농식품유통과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술 도입 시 G마크 인증정보에 대한 폭넓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정책에 블록체인 기술을 확대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2월 23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6년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 블록체인심사’를 통해 전국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을 도정에 활용하고, 올해 중 기부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다고 밝힌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