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지난 20일(금) 금융위원회 정은보 부위원장 주재로 민관합동 『금융교육협의회』를 개최하고, 『수요자 맞춤형 금융교육 추진방안』과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에 대하여 논의했다고 금융위원회가 23일 밝혔다
가계부채 증가, 노후자산부족 등이 사회·경제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민들의 합리적 금융이용을 위한 교육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어 왔다.
금융부채·금융사기 위험이 높거나, 새로운 금융서비스 활용에 소외된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특별 교육도 요청되는 상황이다.
사회초년생, 학자금대출 연체자, 정책금융상품 이용자 등 신용하락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을 선별하여 교육을 확대한다.
노후행복설계센터(전국 약 50개소)를 통해 개인의 재무상황 등을 고려한 노후대비 교육프로그램 및 맞춤형 상담 기능을 강화한다.
‘통합연금포털’ 등 연금포털의 연금가입 정보를 활용, 온·오프라인을 통한 노후자산진단 및 재무설계 지원 활성화를 모색한다.
내년부터 반영되는 고교 교육과정에 금융컨텐츠를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타 교과목(국·영·수 등) 연계 확대 또는 독립교과 신설 등 연구 추진한다.
대학 내 실용금융 강좌 개설 확대, 지역 내 금융회사 네트워크(1사1교 연계, 교내지점 등)을 통해 체험형 교육 을 위주로 운영한다.
고용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금융교육 및 정보제공을 확대하여, 지역주민 및 취약계층의 금융상담 접점으로 활용한다.
취약계층의 물리적·언어적 애로를 고려한 맞춤형교재(오디오북, 외국어 교재 등) 개발, 복지시설과 협업하여 찾아가는 교육을 추진한다.
핀테크 업체와 금융교육기관간 MOU 체결 등을 통해 핀테크 업체가 직접 전자 금융 서비스 등을 교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취약계층이 노출되기 쉬운 전자금융사기(스미싱·파밍·피싱 등) 예방과 새로운 금융서비스 이용시 유의사항 교육도 확대한다.
『수요자 맞춤형 금융교육 추진방안』에 맞추어 기관별 교육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범금융권 금융교육협력단’에서 기관별 교육현황을 정기 점검하여, 기관별 특성에 맞게 ‘선택과 집중’하는 방식으로 개선한다.
차기 ‘금융교육협의회’에서 기관별 이행상황 점검 및 ’금융교육 프로그램 우수 사례‘ 홍보 및 공유 등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