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주민이 만들어가는 복지공동체, 경기도가 지원해 드립니다 - 의왕시 삼동마을과 남양주 키즈 코업을 통해 보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 기사등록 2017-01-04 08:40:00
기사수정
    의왕 삼동마을 강화 나들이

[시사인경제]경기도 의왕시 삼동(행정동명 부곡동)은 의왕시 안에서도 교육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으로 꼽힌다. 영동고속도로와 부곡 IC에 가로막혀 섬처럼 동떨어져 있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은 이 동네를 ‘부곡 아일랜드(섬)’라고 부른다면서 자조적인 웃음을 짓기도 한다.

삼동 지역 소재 학교는 초등학교 2곳과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 1곳. 그런데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전학 ‘러시’가 이어진다. 지리적으로 닫힌 공간이 학생들의 마음에도 영향을 미치는 걸까. 떠난 아이들도 친구들과 헤어져 슬프지만 남은 아이들이 느끼는 ‘버려진 듯한’ 박탈감과는 비할 바가 아니다.

낙후된 학교시설이나 교문 밖으로 나오면 보이는 허허벌판보다도 아이들의 마음을 더욱 차갑게 만든 것은 어쩌면 친구들이 떠나버린 ‘후진 마을’에 남아 ‘후진 학교’를 다니고 있다는 자괴감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삼동의 부모들은 이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었다고 한다.

경기도는 이에 2013년부터 아파트 안의 작은 도서관을 활용해 청소년을 위한 ‘동화책 읽어주기’, ‘멘토링’ 등을 진행하는 마을 공동체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공동체에 뿌리를 두고 ‘교육을 생각하는 삼동 사람들(교삼사)’ 이라는마을 교육 공동체를 지향하는 모임이 생겨난다. 마을의 유일한 중학교인 부곡중학교 선생님들이 열악한 부곡중의 환경을 개선하고 싶다는 바램을 주민에게 전달, 선생님들과 마을 주민들이 모여 학교를 직접 개선하고자 모임을 결성한 것이다.

그 후 주기적인 월례회의와 간담회를 거쳐 뜻을 모아 나갔다. 특히 2015년 2월 처음 개최한 토론회에는 100여명의 학부모들이 모이기도 했다.

이은경 교삼사 대표는 “‘내 아이를 위해서’ 시작했던 모임에서 점점 ‘우리 아이들을 위해’라는 공동체 의식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삼사는 2016년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지역 탐방을 통해 소속감을 키워주는 ‘나들이 사업’, 상처받은 아이들의 치유를 위한 ‘도예학교’, ‘마을 축제’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 공동체 의식을 발전시키고 있다.

경기도는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해 예산과 모니터링을 지원해 삼동마을과 같은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고 있다.

2012년 ‘서로돌봄’사업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복지 부분에 특화된 공동체를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 2015년 ‘복지공동체’사업으로 이어졌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총 80개 공동체에 지원이 이루어졌다. 2016년에도 11개 시·군 31개의 공동체를 지원했다.

경기도가 이 사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예산 지원없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복지공동체로, 4년여의 지원 후 자립에 성공한 남양주의 ‘돌봄 품앗이 키즈 코업(COOP)’ 공동체가 대표적 사례다.

‘돌봄 품앗이 키즈 코업’은 남양주 진접읍, 덕소읍의 엄마들이 모여 구성한 육아 공동체로,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바탕으로 한 보육공동체다. 모임을 주도한 전재은 키즈코업 부회장은 세 아이의 엄마 입장에서 보육나눔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고 한다.

“아이들 3명을 키우면서 제 개인적인 시간은 전혀 없는 것이나 다름이 없었어요. 심지어 몸이 아파 병원을 가야했을 때도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어 세 명을 모두 데리고 가야했죠.”

그렇다고 일을 그만둘 수도 없는 것이 워킹맘의 입장. 돈을 주고 돌보미를 고용해보기도 했지만, 경제적 부담은 물론 모르는 사람에게 아이를 맡긴다는 것이 불안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경기도의 ‘서로돌봄’ 사업을 알게 되었고, 주변 지인들과 함께 ‘키즈 코업’을 결성, 지원을 받게 됐다.

‘키즈 코업’은 돌봄 품앗이 시스템을 체계화하기 위해 일종의 화폐 개념인 ‘돌봄 통장’을 도입했다. 예를 들어 한 엄마가 다른 엄마의 아이 1명을 1시간 동안 돌봐줬을 경우 돌봐준 엄마는 통장에 ‘+1’이 기록되고, 아이를 맡긴 엄마의 통장에는 ‘-1’이 기록되는 식이다. 회사나 집안의 사정으로 부득이하게 아이를 계속 맡길 수밖에 없어 통장에 ‘-’가 계속 쌓일 경우 본인의 특기나 직업을 살린 재능 기부를 통해 이를 만회한다.

모임 초기에는 구성원 간의 친밀감 도모를 위한 캠핑이나 각종 문화행사의 비용을 경기도의 지원으로 해결했지만, 서로에 대한 신뢰가 쌓인 지금은 구성원들의 자체 연회비를 모금해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내 공동체 발전과 자립을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원하는 공동체의 수도 작년 31개에서 올해에는 33개 이상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김문환 경기도 복지정책과장은 “도는 예산과 행정적 지원을 통해 플랫폼을 제공하고, 그 위에서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스스로 필요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주민이 원하는 공동체를 주민들의 힘으로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2.dadamedia.net/news/view.php?idx=13453
  • 기사등록 2017-01-04 08:40: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승원 의원, 용인-과천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예타 선정 환영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국회의원(수원갑, 경기도당 위원장)은 20일 용인~수원~과천 구간을 잇는 지하고속도로 사업인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열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
  2. 김동연도지사 “하남교산 신도시,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만들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하남 교산 신도시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이 되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김동연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 미래도시와 국가 AI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AI는 이제 단순한 산업 혁신 도구를 넘어서...
  3.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반환공여구역 개발은 ‘희생에 대한 보상’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드는 ‘투자’”라며 총 3천억 원 규모의 개발기금 조성, 지방도 9개 노선 신설 등 교통인프라 개선, 선제적 규제 개선 등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대한 구체적 정책방향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25일 국회도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