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수) ‘對美 통상협의회’(산업부 장관, 무역협회 회장 공동 주관) 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1차 협의회 이후 논의된 사항에 대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그간 각 기관별로 검토한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 분석을 토대로 향후 한미간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주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미국 新정부의 통상정책 방향을 예단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주요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하면서“우선, 한-미간 교역·투자·일자리 확대의 틀로 자리매김한 한미 FTA의 상호 호혜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특히 미국내 일자리 창출등 win-win효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것”이며,“한미 FTA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상호 호혜적인 협력을 확대하고, 양국간 통상현안도 한미 FTA의 틀에서 원만히 해결”하는 한편, “미국 新 정부의 새로운 정책기조를 활용해 우리에게 필요하고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협력과제를 발굴해 기업들의 현지진출을 도울 계획”임을 밝혔다.
이어진 안건 발표에서, 무역협회는 향후 ‘新정부 출범 이후 단계적으로 미국내 주요 씽크탱크와의 교류 확대, 對美 경제협력사절단 파견 등 민간차원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으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향후 美-中간 통상마찰 가능성이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엔·유로화 약세 가능성에 따른 수출 가격 경쟁력 저하 우려 등을 지적했고, 산업연구원(KIET)은 향후 우리 기업들이 수출지역 다변화(자동차), 美 현지기업 M&A(석유화학), 美 시장 내 제품 차별화(섬유) 등의 전략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주 장관은 “최근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고 평가하며, 금번 협의회를 통해 논의된 사항을 검토·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관계부처·업계와의 긴밀한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