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뉴스】화성시는 이르면 내년 2월부터 읍·면·동에서 주민 밀착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첵임읍면동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
‘책임읍면동제’는 주민과 공무원이 함께 고민하여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권역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새로운 정책 모델로, 지난달 30일 행정자치부는 화성시를 포함 총 8개 지자체를 선정해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화성시는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로 일반 구청 2개소를 설치할 수 있으나 예산 절감 및 행정 중층구조 단순화를 통한 주민 밀착 행정서비스를 위해 현재 24개 읍ㆍ면ㆍ동을 9개 권역<표참조>으로 나눠 2016년 초까지 개청할 계획이다.
향후 동탄 2신도시가 완료되는 시점에는 3개소를 추가해 모두 12개 권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에 따라 시는 이달부터 시민을 대상으로 책임읍면동제 홍보와 설명회를 추진하고, 연말까지 청사 리모델링 및 증축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자치행정과장이 총괄하는 TF팀(8반 33개팀)을 구성해 본청과 책임읍면동의 사무와 인력 배분 조정을 위한 위임사무 목록과 업무량 조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시 자치행정과는 “책임읍면동제가 시행되면 주소지에서 가까운 책임읍면동에서 구청 수준의 사무 처리가 가능해 주민들의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권역별 맞춤형 기구 구성 및 인력 배치가 가능해져 행정 효율성과 시민 편의성 및 예산 적정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책임읍면동제의 취지에 맞게 각 청사를 4개과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규모로 설치하되 너무 노후되거나 협소한 청사를 제외하고는 기존 청사를 최대한 활용해 예산을 절감할 계획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