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뉴스=김문덕 기자] ‘혼밥’ ‘혼술’ 등 ‘나 홀로’를 의미하는 개별 행위가 사회적 신드롬으로 더욱 짙어져 가고 있는 가운데 1인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의 3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8일 내놓은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가구는 614만8000가구다. 전체 가구(2034만3000)의 30.2%에 달한다. 1인가구 비중은 2015년(27.2%) 이후 줄곧 상승세다.
여자는 주로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남자는 30~50대에서 1인 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10가구 중 6가구(60.8%)가 취업 상태다. 50~64세, 30대, 40대 순으로 취업 비중이 높다.
하지만 1인가구의 연 소득은 평균 2116만원(월 176만원)으로 전체 가구의 36.3%에 불과하다. 10가구 중 약 8가구가 연 소득 3000만원 미만이다.
이전소득(공적·사적) 비중이 22.2%로 전체 가구(8.4%) 대비 약 2.6배 수준이다. 정부나 가족 등으로부터 받는 돈의 비중이 크다는 뜻이다.
통계청이 8일 내놓은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가구는 614만8000가구다. 전체 가구(2034만3000)의 30.2%에 달한다.(사진=서울 성북구)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42만6000원으로 전체 가구의 58.0% 수준이다. 일반 가구와 비교하면 주거·수도·광열과 주류·담배의 지출 비중이 높다.
1인가구의 평균 자산은 1억6000만원으로 전체 가구의 37.2% 수준이다. 금융부채 2000만원을 제하고 나면 순자산은 1억4000만원에 그친다.
주거 형태는 10가구 중 약 4가구(38.0%)가 보증금 있는 월세에 거주한다. 이어 자가(30.6%)와 전세(15.8%) 순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