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 먹거리 산업인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등 빅3 산업 집중 육성에 나선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4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등 소위 빅3 산업에 대해 지난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책’에 버금가는 각별한 육성대책을 추진코자 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빅3 산업 지원과 관련해 ▲재정·금융·세제 집중지원 ▲규제의 획기적 혁파 ▲기업 간 수직·수평협력 생태계 조성 ▲빅3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등 소위 빅3 산업에 대해 각별한 육성대책을 추진코자 한다”고 말했다.(사진=기재부)정부는 시스템반도체 경우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 도약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2022년까지 파운드리 글로벌 시장점유율 18%, 팹리스 2%를, 2025년까지는 각각 25%, 5% 목표를 달성하기로 했다.
미래차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 전기·수소차 생산국가 도약 목표 하에 2022년까지 미래차 38만대 보급, 수출 비중 10%를, 2025년까지는 133만대 보급, 20% 목표를 이루기로 했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K-바이오 차세대 성장동력화 목표로 2022년까지 수출액 200억달러, 세계시장 점유율 3%를, 2025년까지 300억달러, 4.2% 목표를 추진하기로 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