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상거래 감소 등 영향으로 5만원권 환수율이 25.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9년 첫 발행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5만원권 환수율 평가 및 시사점' 분석에 따르면 올해 5만원권의 발행액은 1월부터 10월까지 모두 21조9000억원이다.
이 중 환수액은 5조6000억원으로 집계돼, 환수율이 25.4%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4%포인트나 하락한 수치다. 또한 지난 2009년 5만원권이 최초 발행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어디로 다 갔을까?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상거래 감소 등 영향으로 5만원권 환수율이 25.4%로 집계됐다.(사진=경기인뉴스 자료실)금융불안기인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고액권인 만원권의 환수율은 107.1%로 전년대비 6.5%포인트 상승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95.1%로 전년대비 0.8%포인트 하락하는데 그쳤다.
통상 금융불안기에는 경기위축 등의 영향으로 발행액과 환수액이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에는 5만원권 발행액은 늘어난 반면 환수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환수율이 급락해 과거 금융불안기와 대비된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올해 환수율 저조가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의 특성상 대면 상거래 제약이 발생해 화폐 유통이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반면 안전자산 선호 등 예비용 수요로 발행액은 증가해 올해 1~10월중 지급 상위 3개 금융기관을 통한 5만원권 발행액은 전년동기 대비 8.8% 감소했지만 3개 기관을 제외한 여타 시중은행의 발행액은 25.0%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시중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저금리 등으로 현금보유성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