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기업 10곳 중 4곳 꼴로 사업을 해서 번 돈이 이자도 못 갚을 정도로 한계상황에 봉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9년 기업경영분석’ 통계에 따르면 조사대상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74만1408개(제조업 15만9328개·비제조업 58만280개)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평균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율이 직전연도인 2018년 4%에서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반도체와 휴대전화 등의 수출 부진, 화학제품 가격 하락 탓에 전자·영상·통신장비와 화학제품 업종의 매출은 각 8.1%, 5.2% 뒷걸음쳤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기업 10곳 중 4곳 꼴로 사업을 해서 번 돈이 이자도 못 갚을 정도로 한계상황에 봉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김문덕 기자)성장성뿐 아니라 수익성도 나빠졌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5.6%→4.2%), 매출액 대비 세전 순이익률(5.3%→3.7%) 모두 하락했다. 영업이익률은 2014년(3.96%) 이후 5년 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익성 하락은 제조업에서 더 뚜렷했다.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의 영업이익률이 1년 사이 18.2%에서 5.6%로 급락했고, 이 영향으로 전체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이 7.3%에서 4.4%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비제조업의 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0.3%포인트(4.3→4.0%)로 크지 않았다.
이자 비용이 없는 곳을 뺀 38만4877개 기업 가운데 36.6%는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00% 미만이었다.
이는 한해 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의 비중이 37%라는 뜻이다. 2018년(35.2%)보다 늘었을 뿐 아니라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9년 이후 가장 높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