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8월중에도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
‘흑자’라고해서 반길만한 것도 아니다. 이유는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감소하는 와중에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다.
한국은행은 8일 ‘2020년 8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8월 경상수지는 65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4월 적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는 5월(22억9000만 달러 흑자) 이후 4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지난 8월 상품수지가 70억1000만 달러 흑자를 내면서 지난해 11월(73억9000만 달러) 이후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영향이다.
하지만 ‘불황형 흑자’ 양상이 더 뚜렷해져 경제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경상수지 흑자가 수출 호조 속에서 나타난 게 아니라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고 수입은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수출은 406억7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0.3% 감소했다. 반면 수입은 336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7.3% 줄었다. 수출입 모두 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8월 서비스수지는 8억 달러로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폭은 지난해 같은 달(-15억6000만 달러)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사태에 해외출국자가 급감한 것이 서비스수지 적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행수지 적자는 4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적자 폭이 5억1000만 달러 줄었다.
운송수지는 항공화물운송수입이 증가하면서 3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4000만 달러 흑자와 비교하면 흑자 폭이 3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8일 ‘2020년 8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8월 경상수지는 65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자료=한국은행)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