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전일 주가가 4.8% 급락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와 실물경제 향방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 변동성도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차관은 “동학개미로 불리는 신규 개인투자자가 주식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지만 증시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비대면 온라인 주식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국내에서는 ‘동학개미’, 미국에서는 ‘로빈후드 투자자’로 불리는 개인들의 주식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며 “증시 저변을 확대시키고 유동성과 활력을 더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전일 주가가 4.8% 급락한 것과 관련해 설명했다.(사진=기재부)동학개미로 불리는 신규 투자자 유입에 따라 지난 12일 기준 주식활동계좌 수는 3187만개로 작년말 2936만개에 비해 8.5% 증가했다.
그는 “(동학개미로 불리는 신규 투자자들은)젊고, 투자결정이 빠르며, 단기 투자를 선호하는 특징을 지닌다”며 “이 같은 투자 성향이 증시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상황과 관련해서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차이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세계은행(-5.2%)과 OECD(-7.6%)의 올해 세계 경제가 역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지난 11일 미국 다우지수는 6.9% 폭락했다.
김 차관은 이와 더불어 “미·중간 갈등 전개,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 부채 리스크, 영국-EU간 브렉시트 전환기간 합의여부 등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더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신규 투자자 확대가 향후 증시에 미칠 영향과투자자 보호에 더욱 유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