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도 불구하고 1분기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은 중하위(1~3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에 직격탄이 됐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0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올해 1분기 소득 상위 20%(5분위)는 하위 20%(1분위)보다 5.41배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5.18배)보다 악화한 수치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소득 불평등이 가장 심했던 2018년(5.95배)보다 숫자상으로 개선된 모습이지만, 지난해부터 통계청이 조사 방법을 개편해 단순비교는 할 수 없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0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올해 1분기 소득 상위 20%(5분위)는 하위 20%(1분위)보다 5.41배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통계청)저소득층 가구의 소득은 그대로인데 고소득층 가구의 소득은 늘었다.
특히 소득이 낮은 1~3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올 1분기 모두 감소했다.
반면 4·5분위의 근로소득은 각각 7.8%·2.6% 늘었다. 4·5분위는 사업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이 줄었다.
강신욱 통계청장은 “코로나19로 일자리가 없어지거나 급여가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근로소득 증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예측을 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