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는 국제표준화 기구(ISO/TC156) 총회 및 작업반 회의가 5일에서 오는 9일 까지 제주 히든클리프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총회 및 분과위원회, 응력부식균열 등의 10개 작업반, 특별·자문위원회 등 총 13개로 진행되며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12개국 100여명이 참석한다.
TC156은 1974년 설립됐고, 독일 지멘스, 프랑스 알톰 등 선진국 기업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은 분야로써, 우리나라의 한국전력기술, 포스코 등도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2000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열린 후 2번째로 유치해 개최하는 것이다.
이 분야의 국제표준들은 산업설비의 노후화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국가기술표준원은 2014년에 한국부식방식학회를 TC156 표준개발협력기관(COSD)으로 지정하고, 표준기술력향상사업 등을 통해 표준기술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화 활동을 지원해왔다.
이번 제주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표준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3D프린팅 제품의 부식측정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하고 작업반 구성을 논의하게 된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되는 총 29종의 국제표준 중 관심을 끄는 주요 이슈는 ‘자동차 경량화에 사용되는 마그네슘합금의 응력부식균열 측정방법’과 ‘원자로 발전설비의 응력부식균열 측정방법’, ‘해양플랜트 등의 대기부식 평가방법’ 등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제안하게 될 ‘적층가공방법으로 제조한 타이타늄합금의 전기화학적 임계국부부식온도의 측정’ 표준은 3D프린팅제품에 대한 세계 최초의 전기화학적 부식 측정방법으로 각국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3D프린팅제품의 경우 내부의 많은 구멍과 부식에 취약한 적층면이 우선 부식되는 특성이 있어, 신규 제안 표준은 이들 부위에서 우선 부식을 발생시키는 부식환경과 시험절차를 표준화함으로써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제안한 3D프린팅 제품의 부식 측정방법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될 경우, 그동안 표준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얻은 시험장비의 설계 및 진동자 제조기술 등에 대한 노하우를 국내 중소기업에 전수해 사업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터빈블레이드, 인체의 고관절 및 임플란트 소재로 사용되는 3D프린팅 타이타늄 합금제품은 내구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데, 이와 관련된 부식측정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선점한다면 우리 제품의 신뢰성 향상과 3D프린팅제품의 수출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3D프린팅의 실용화 촉진을 위해 해당분야의 국가표준을 확충하고, 3D프린팅 관련 중소기업의 표준기술 개발 및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