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주형환 장관 주재로 전자부품연구원 대회의실에서'IoT가전 및 스마트 홈 융합 얼라이언스'발족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족식에는 가전사(삼성전자, 엘지(LG)전자, 코웨이, 쿠첸), 통신사(에스케이(SK), 케이티(KT)), 반도체·센서·소프트웨어(SW)업체(엠디에스(MDS) 테크놀로지, 삼영 에스엔씨(S&C), 와이즈넛), 건설사(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 주택공사(SH)), 서비스사(인코어드, 에스원) 등 스마트 홈 관련 우리나라 대표기업이 참석했다.
이번 융합 얼라이언스는 사물인터넷(IoT) 가전이 통신과 연결하고 인공지능과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업종 기업간 협력이 필수적이므로, 기업간 협업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결성했다.
융합 얼라이언스는 스마트 홈 구현기술 협력 및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기술협력 분야,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홈 서비스 개발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분야, 규제, 표준화 문제 등을 논의하는 제도개선 분야, 스마트 홈 시장 확대를 위한 보급·확산 분야 등 4개 분야로 운영한다.
우선, 오늘 모인 기업들을 중심으로 플랫폼 연계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해 나가며, 점차 유통, 의료, 보험 등 연관서비스 기업들로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궁극적으로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등 타 플랫폼과의 연계 서비스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여 나갈 예정이다.
주형환 장관은 “스마트 홈은 가정으로 들어온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으로 사물인터넷(IoT)가전이 통신으로 연결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결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적인 플랫폼이다.”라고 말하고, “인터넷 포털, 사회연결망서비스(SNS) 등 타 플랫폼과 달리 아직 주도적인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은 상황으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일류의 가전 산업과 우수한 정보기술(IT) 및 통신 인프라, 반도체 등 업스트림 산업의 역량을 결합하면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 플랫폼 분야이다.”라고 평가했다.
이런 측면에서 참여 기업이 다양한 협력활동을 전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우선, 가전사와 통신사 간 협력을 통해 스마트 홈 플랫폼 간 상호 연동성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세계적인 모범사례(Best Practice)로 확산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공사(SH) 등 공공 건설부문이 스마트 홈 보급 확산에 선도적 역할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조력자로서 융합얼라이언스에 참여해 스마트 홈 확산을 위한 기반을 적극 마련할 계획이다.
첫째, 데이터 규제를 완화하고 활용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선진국 사례를 참고하여 데이터 규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전력 빅데이터 센터 등 공공분야가 선도해서 비식별 데이터의 개방 폭을 확대 둘째, 스마트 홈 초기시장 창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가정에서 아낀 전기를 판매할 수 있는 수요자원거래시장 참여 사물인터넷(IoT) 가전 사용가구수를 작년 250세대에서 올해 500세대로 확대하고, 구형 가전(legacy)과 사물인터넷(IoT)가전 연동을 위한 통합 솔류션 모듈을 개발하여 보급 셋째, 개방적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대·중소기업 협업 프로젝트* 확대와 함께, 올해 2학기부터 20여개 공과대학에서 사물인터넷(IoT) 프로그램이 교과목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가전 산학연계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참여한 업계대표들은 스마트 홈 확산을 위해 가전, 통신, 서비스 등 다양한 업종 간 개방형 협력이 필요한데 반해, 그간 이러한 협업의 장이 부족했다고 하면서, 이번 융합 얼라이언스 발족을 계기로 플랫폼간 연계,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 등 성공모델을 창출하여 글로벌 공동 진출까지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다짐했다.
또한, 참석한 주요 기업은 사물인터넷(IoT)가전 및 스마트 홈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 추진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사물인터넷(IoT) 가전에 인공지능 빅스비와 다양한 사물인터넷(IoT)을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 ’삼성커넥트‘를 탑재할 예정이다.
엘지(LG)전자는 독자 개발한 딥러닝 기술 ‘딥씽큐’를 탑재한 사물인터넷(IoT) 가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날, 기업사례를 발표한 쿠첸은 기존 무선랜(wifi) 밥솥 이외에 전기레인지, 후드 등을 연계한 ‘스마트 쿠킹’ 솔루션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에스케이(SK) 텔레콤은 빅데이터, 인공지능(누구) 기술을 활용해 고도화한 스마트홈 서비스를 개발하고, 케이티(KT)는 기가지니 인공지능 비즈니스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협력사에 기가지니 소프트웨어 개발키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이날 사물인터넷(IoT)가전 및 스마트 홈 융합얼라이언스 발족식에 맞춰 전자부품연구원'IoT가전 빅데이터 센터'현판식을 개최했다.
'IoT가전 빅데이터 센터'는 가전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술적으로 가공·분석하여 업계에 제공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신기능 가전 및 스마트 홈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자부품연구원은 한국전력과 전력사용량 등에 관한 빅데이터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전의 데이터를 활용해 중소기업을 위한 에너지 고효율 사물인터넷(IoT)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