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산업통상자원부와 경찰청은 산업기술 연구개발(R&D)을 활용해 치안산업 육성과 국민안전을 위해 그간 추진해온 『공공수요연계형 연구개발(R&D)』의 추진 경과를 점검하고 올해 추진 방향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양 부처의 업무협약(MOU) 취지에 따라 산업부는 연구개발(R&D) 성과물을 치안시장에 출시해 사업화하고, 경찰청은 치안역량강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수요를 산업부로부터 지원받는 형태의 상호 협력(Win-Win)을 공고히 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양 부처 관계자와 연구 수행 기업 등이 참여하는 간담회를 통해 연구현장의 애로사항을 들었고, 정보교류회에서는 양해각서(MOU) 이행상황 점검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 기업이 직접 개발내용 등 추진 경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전량 수입하는 전자충격기를 한국인의 체형에 맞게 국산화하고, 경찰의 강력범 제압 시 현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한번 장전으로 3∼4회 사용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하는 과제로 외화절감(연간 약 16.5억원)과 나아가 한국인과 체형이 비슷한 나라에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건 현장의 혈흔 정보를 통해 피해자와 범인의 위치, 흉기 사용 각도 등을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 과제로 사건 현장을 과학적이고 정밀하게 시뮬레이션(모사)함으로써 경찰의 수사기법을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로 여러 곳에 설치된 교통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의 영상들을 받아 교통정체 정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엔진을 개발하는 과제로 개발한 엔진에서 제공하는 교통정보로 운전자가 원하는 지점까지 정체 없이 갈 수 있어 정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워크숍에 참석한 산업부 박건수 산업기술정책관은 “현재 추진 중인 공공수요연계형 연구개발(R&D)의 성과가 치안분야에서 즉시 활용되어 국민안전 증진과 참여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경찰청 유승렬 연구발전과장은 “치안분야 연구개발(R&D)을 통해 그간 인력투입 위주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한 방식으로 범죄 대응 체계룰 전환해 국민께 보다 높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