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간편식 시장과 관련한 도시락, 레토르트, 신선편의식품의 가공식품 시장분석 보고서 3종을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은 간편한 식사 대용품으로 식품공전에 따른 품목분류로 보면 즉석섭취, 즉석조리식품 및 신선편의식품류가 이에 해당된다.
간편식의 국내시장 규모는 2015년 출하액 기준 1조 6,720억원으로, 2011년 1조 1,1067억원에서 5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간편식 시장에서 즉석섭취식품의 비중이 59.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즉석조리식품(34.9%), 신선편의식품(5.7%) 순으로 나타났다.
즉석섭취식품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5년 출하액 기준 9,922억원으로 2011년 6,652억원 대비 49.2% 증가했다.
즉석섭취식품의 주된 품목은 “도시락”으로, 2015년 출하액의 4,446억원으로 4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섭취식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락은 국내 출하비중이 84%이며, 항공기 기내식 등 수출이 16%를 차지한다.
국내로 출하된 도시락은 편의점(40%), 도시락 전문점(30%), 외식업체(20%), 온라인(10%) 등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섭취식품의 주요 품목인 도시락의 편의점 시장규모는 2015년 1,329억원으로 최근 3년간 70.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즉석섭취식품 중 도시락의 매출 점유율은 2013년 19.2%에서 2015년 27.9%로 늘어났으며, 2016년 2/4분기에는 34.1%까지 증가했다.
도시락 이용에 대한 소비자 조사 도시락의 소비 특성에 대한 소비자 조사는 2016년 9월 12일 ~ 9월 21일까지 도시락에 대한 구매 및 소비 경험이 있는 온라인 조사 패널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성별의 분포는 남성(50%), 여성(50%), 연령별 분포는 10대(20.0%), 20대(40.0%), 30대(40.0%)이다.
결과, 주로 ‘집·사무실에서 혼자 먹을 때(53.3%)’ 식사대용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출장, 소풍, 회의, 단체식사제공(25.3%) 등 간편한 식사를 원하는 상황에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락을 선택하는 이유로 5명 중 1명이 ‘건강하다고 생각된다(22.5%)’고 응답했고, ‘집밥 먹는 느낌이 든다(13.8%)’는 응답도 상당하여 도시락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호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락을 구매하여 먹는 장소는 ‘집’이 32.3%로 가장 많았고, ‘사무실·학교’(27.5%), ‘편의점’(22.0%) 등의 순이었다.
도시락은 혼자 먹는 경우가 64.0%로 가장 많았고, 친구·연인이나 직장동료와 먹는 경우는 각각 14.0%, 13.2% 였다.
도시락을 섭취하는 빈도는 ‘일주일에 1~2번’(33.3%)이 가장 많고, 섭취시간은 주로 ‘점심시간’(63.2%)인 것으로 조사됐다.
즉석조리식품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5년 5,843억원으로 2011년 3,815억원에서 53.2% 증가했다.
최근 식품가공·포장, 보관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국·탕·찌개류, 스프류, 미트류 등의 간편식 레토르트 제품 출시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즉석조리식품에 포함된 간편식 레토르트 제품을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살펴보면,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와 기업간 거래(B2B) 비중이 약 8:2로 조사되었다.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는 대형할인점(39.9%), 체인슈퍼(19.5%), 편의점(7.0%)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업간 거래(B2B)의 경우 외식 프랜차이즈, 급식업체, 군부대 등 대량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조리식품 중 간편식 레토르트 식품의 소비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1,287억원으로 2013년 1,052억원에서 2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조사 레토르트 구입 및 소비 특성에 대한 소비자 조사는 2016년 9월 12일 ~ 9월 21일까지 레토르트에 대한 구매 및 소비 경험이 있는 온라인 조사 패널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성별의 분포는 남성(50%), 여성(50%), 연령별 분포는 20대(30.0%), 30대(35.0%), 40대(35.0%)이다.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 20~30대 보다 40대, 미혼자 보다 기혼자, 다인가구 보다 1인 가구의 구매빈도가 높고, 구입빈도는 한 달에 2번 정도 구입(28.0%)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레토르트 식품은 집이나 사무실에서 혼자 먹는 경우가 60.2%로 가장 많았고, 가족끼리 식사할 때 반찬이나 국으로 먹는 경우도 23.0%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식품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5년 출하액 기준 956억원으로 2011년 601억원에 비해 59.1% 증가했다.
신선편의식품 시장 형성 초기에는 단순 세척 샐러드류 제품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치즈, 건과류, 닭가슴살 등 구성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출하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식품은 가공, 포장, 유통 시 물리적 상해를 받기 쉽고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 품질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대부분 제조업체에서 소매채널로 바로 유통되는 특징이 있다.
기업간 거래(B2B)와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은 약 3:7로 조사되었다.
신선편의식품 중 간편과일과 샐러드의 대형 할인점·체인슈퍼 판매액은 2013년 208억원에서 2015년 309억원으로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할인점의 샐러드 판매액은 2013년부터 2015년간 연평균 17.1%의 증가율을 보였는데, 이는 소포장, 요리용 손질 채소 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품 출시가 늘어난 것이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식품(신선편이농산물 포함)이용에 대한 소비자 조사 신선편의식품의 구입 및 소비 특성에 대한 소비자 조사는 2016년 9월 12일 ~ 9월 21일까지 신선편의식품에 대한 구매 및 소비 경험이 있는 온라인 조사 패널 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연령별 분포는 20대(30.0%), 30대(35.0%), 40대(35.0%)이다.
신선편의식품과 신선편이농산물이라는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응답자가 전체의 44.8%를 차지함. 이에 따라 응답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선편의식품과 신선편이농산물을 신선편의제품으로 통칭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결과 구입했거나 먹어본 경험이 있는 제품은 포장되어 나온 샐러드·새싹채소·쌈채소 등이 29.4%로 가장 많았고, 다음 세척·다듬어진 채소류가 27.4%, 세척·박피 과일류가 23.2% 였다.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하는 주 이유는 ‘재료를 다듬고 세척하는 과정의 번거로움 때문(36.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소용량으로 구입해 재료의 낭비를 막기 위해 구입하는 경우도 2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식품의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69.5%)을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형체인슈퍼(11.7%), 중소형·동네슈퍼(9.7%) 순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국제 시장조사기관인 Canadean에 따르면 전세계 간편식 시장규모는 2015년 기준 763억 달러로, 2011년 844억 달러에 비해 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간편식류가 ‘10년 이후 주목을 받기 시작하며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일본, 유럽의 경우는 이미 간편식이 성숙기 단계에 접어들어 세계 시장 규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 된다.
국가별로는 간편식 종류에 따라 시장규모 또는 특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하게 출시된 샐러드나 과일 제품이 보편화되어 신선편의식품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2011년 67억 달러에서 2015년 74억 달러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함께 곁들일 수 있는 소스 및 사이드 메뉴가 다양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 최근의 소비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냉장간편식 중 편의점 도시락 소비가 대중화되어 있고, 건강한 식습관과 식품안전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저열량 건강 도시락의 수요가 늘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고령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한 배달 도시락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는 개별 가공식품의 산업현황, 시장과 소비특성, 해외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통계 및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공하는 자료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총 68개 품목(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왔으며,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www.aTFIS.or.kr) 에서 볼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부터 정부 3.0 취지에 맞춰, 가공식품 시장분석 정보가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관심 업계를 대상으로 품목별 시장현황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관련 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토록 할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관은 “가정 간편식 시장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R&D 등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히고,“가정 간편식 시장 성장을 통해 고품질의 우리 농산물 소비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