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6년 10월 기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 충원이 어려운 사유는 단순인력은 낮은 근로조건, 고급인력은 기업이 원하는 인재 부족
  • 기사등록 2016-12-28 11:13:00
기사수정
    부족인원 및 인력부족률

[시사인경제]고용노동부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인력충원, 부족현황 및 채용계획 등을 조사한 ‘16년 하반기(10월 기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6년 3분기 구인인원은 70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1.4%) 증가, 채용인원은 61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천명(0.5%) 증가했다. 구인 및 채용인원은 2015년 3분기 5천명 감소한 이후에 정체된 수준이다.

구인 및 채용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구인 95천명, 채용 85천명), 건설 관련직(구인 68천명, 채용 65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구인 66천명, 채용 59천명)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구인 33.7%, 채용 29.7%), 화학 관련직(구인 33.2%, 채용 21.0%)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구인 및 채용인원은 제조업(구인 148천명, 채용 117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구인 82천명, 채용 75천명), 건설업(구인 80천명, 채용 75천명)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구인 95.2%, 채용 88.5%),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구인 50.7%, 채용 57.0%)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300인 미만(구인 585천명, 채용 501천명)이 300인이상(구인 118천명, 채용 112천명)보다 구인 및 채용인원이 많았다.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300인 미만(구인 1.4%, 채용 0.4% 증가)과 300인이상(구인 1.4%, 채용 0.6% 증가)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2016년 3분기 동안 사업체에서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 미충원인원은 90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천명(8.0%) 증가했고, 미충원율은 12.7%로 전년동기(12.0%) 보다 0.7%p 상승했다.

미충원인원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14천명), 경영·회계·사무 관련직(10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9천명) 순으로 많았다.

미충원율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1%), 섬유 및 의복 관련직(26.9%), 화학 관련직(25.5%),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21.8%) 순으로 높았다.

제조업(30천명), 운수업(13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천명), 도매 및 소매업(8천명) 순으로 많았다.

미충원율은 운수업(32.5%), 제조업(20.6%),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13.8%) 순으로 높았다.

300인 미만(84천명)이 300인 이상(6천명)에 비해 미충원인원이 많았으며,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미충원율은 각각 14.3%와 5.0%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구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 사유를 보면,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3.6%),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17.7%) 등이 높았다.

직능수준이 높을수록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학력·자격 또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비율이 높았다.

직능수준이 낮을수록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의 비율이 높았다.

2016년 10월 1일 현재 사업체가 정상적인 경영 및 생산활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더 필요한 ’부족인원‘은 28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4천명(5.1%) 증가했고, 인력부족률은 2.5%로 전년동기대비 0.1%p 상승했다.

부족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6천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6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25천명), 기계 관련직(21천명) 순으로 많았다.

인력부족률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5.0%), 식품가공 관련직(4.5%), 음식서비스 관련직(4.3%) 순으로 높았다.

부족인원은 제조업(89천명), 도매 및 소매업(30천명), 운수업(28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6천명) 순으로 많았다.

인력부족률은 숙박 및 음식점업(4.8%), 운수업(4.7%), 도매 및 소매업(2.8%),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8%) 순으로 높았다.

300인 미만(261천명)이 300인 이상(23천명)에 비해 부족인원이 많았으며, 인력부족률도 300인 미만(2.8%)이 300인 이상(1.0%)에 비해 높았다.

2016년 4/4분기부터 ‘17년 1/4분기 동안 채용계획인원은 30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3.0%) 증가하였으나, 300인 이상 사업체의 채용계획인원은 감소(-8.8%)했다.



채용계획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6천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8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26천명) 순으로 많았다.

채용계획인원은 제조업(92천명), 도매 및 소매업(30천명), 운수업(28천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8천명) 순으로 많았다.

300인 미만(275천명)이 300인 이상(30천명)에 비해 채용계획인원이 많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2.dadamedia.net/news/view.php?idx=13026
  • 기사등록 2016-12-28 11:13: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승원 의원, 용인-과천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예타 선정 환영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국회의원(수원갑, 경기도당 위원장)은 20일 용인~수원~과천 구간을 잇는 지하고속도로 사업인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열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 신설사...
  2. 김동연도지사 “하남교산 신도시,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만들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하남 교산 신도시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이 되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김동연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 미래도시와 국가 AI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AI는 이제 단순한 산업 혁신 도구를 넘어서...
  3.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반환공여구역 개발은 ‘희생에 대한 보상’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드는 ‘투자’”라며 총 3천억 원 규모의 개발기금 조성, 지방도 9개 노선 신설 등 교통인프라 개선, 선제적 규제 개선 등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대한 구체적 정책방향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25일 국회도서.
  4. 경기도, 세금탈루 회피 등 부동산 거래 거짓신고자 546명 적발 경기도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31개 시군의 부동산 거짓 신고 의심 사례 3,056건을 특별 조사한 결과, 납세 의무 회피 등의 목적으로 부동산 거래를 거짓 신고한 546명을 적발해 총 8억 8,93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26일 밝혔다.도는 업·다운 계약 신고, 계약일 거짓 신고, 특수 관계(친인척) 간 매매 신고, 거래 대금 확인 불가 등 거짓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